서울생활사박물관 구치감동
옛 북부법조단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서울생활사박물관으로 다시 태어났다. 건물 뼈대는 그대로이지만, 외관과 내부는 싹다 갈아 엎은 듯 싶다. 법조단지는 사라졌지만, 단 한곳은 남아있다. 재판을 기다리던 미결수들이 머무르던 장소, 구치감동이다.
작품명이 후회합니다로, 공판을 마치고 피고인의 후회하는 모습과 이를 위로하는 변호사와 교도관의 모습을 표현했다고 한다. 자동차는 신진지프로 우라나라 최초의 SUV차량으로 쌍용차동자 코란도의 전신이다.
구치감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일반 교정시설(구치소 및 교도소)에 있는 수용자가 검사의 조사나 법원의 재판을 받기 위해 출정을 나와 검찰청 내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장소라고 한다. 그나저나 문부터 예사롭지 않다. 왜 열려있을까 했는데, 촬영을 위해 문을 닫고 다시 열려고 하는데 육중한 무게로 인해 문이 안 열린다. 그당시 문을 사이에 두고, 안과 밖의 기온차는 달라도 너무 달랐을 듯 싶다.
구치소와 교도소가 인접해 있는 국민학교를 나왔던지라, 법을 어겨서는 안된다는 교육은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6년내내 눈으로 보면서 배웠다. 하지만 그때는 외관만 봤지, 안에 들어가 본 적은 없었다.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을 통해 나름 시청각 교육은 되어 있다고 생각했는데 직접 보니 확실히 다르다. 역시 죄는 짓지 말고 착하게 살아야 한다.
누가봐도 교도관 복장만 체험할 거 같다. 수용자 복장은 딱히 그닥 별로 입고 싶지 않으니깐. 수용자 옷을 입으면, 옷만 입었는데도 왠지 어깨가 좁아지고, 하늘보다는 땅만 보면서 걸을 거 같다.
복장체험을 지나 안쪽으로 들어가면, 구치감동이 나온다. 가장 먼저 보이는 건, 면회실이고 그 옆에는 여러 사람이 지내는 혼거방이 있다. 그 뒤로는 좀 생뚱맞지만 서울의 옛 골목길을 재현해 놓았다.
오픈 주방은 들어봤어도, 오픈 화장실은 처음이다. 독방답게 정말 좁다. 요즘이 아니라 근현대 구치소의 모습이라더니, 확실히 드라마에서 보던 장면과는 많이 다르다.
독거실에 비해 혼거실은 화장실에 문도 있고, 테이블에 텔레비까지 나름 구색이 갖춰져 있다. 독방을 보고 와서 그런지 꽤 넓다고 생각했는데, 3.9평이라고 한다.
면화실하면 영화 너는 내 운명이 떠오른다. 과히 명장면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바라보는 면회실은 그저 그렇다. 조그만 창을 통해 가족을 만나야 했으니, 얼마나 힘들었을까? 역시 사람은 차카게 살아야 한다.
1960년~80년대 옛 골목길에서 마주했던 자취방, 만화방, 음악다방 등 체험형 전시 공간이다. 영화 포스터의 카피, "아프면서 자라는 아이를 위한 감동적인 동심의 메아리" 달려아 만석아~ 빨간 우체통 옆에 있는 포스터에는 반공이념을 집대성한 거작이라고 나와 있다.
재현해 놓은 세트일 뿐인데, 어디선가 쾨쾨한 냄새가 나는 거 같다. 왜 자취방하면 그리 깔끔하지 못한 냄새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걸까? 옥의 티를 찾았다. 달력 비주얼은 70~80년대 느낌이 나는데, 확대해서 보니 2007년도 달력이다.
만화방은 자취방을 능가하는 쾨쾨한 냄새 집합소다. 책을 소독한다는 개념이 없던 시절이고, 실내에서 마음껏 담배를 필 수 있었을테니 상큼함을 바라는 건 무리다. 지금은 웹툰이 대세지만, 이때만 해도 남자는 무협지나 스포츠만화를, 여자는 순정만화와 로맨스 소설을 즐겨봤다. "난 네가 기뻐하는 일이라면 뭐든지 할 수있어~" 까치, 엄지, 마동탁 등 공포의 외인구단이 살며시 떠오른다.
카피추 버전의 담배가게 아가씨. 우리 동네 담배가게에는 아가씨가 담배 펴요(예쁘다네). 짧은 머리 곱게 빗은 것이 계속 줄담배 펴요(정말로 예쁘다네). 온 동네 청년들이 너모나도 기웃기웃기웃 그러면(그러다) 그 아가씨는 도너츠도 만들어요(새침떼기). 줄담배 피는 담배가게 아가씨가 있었을 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든다.
커피보다는 코피가 더 어울리고, 얼음동동 냉코피에 커피, 프림, 설탕은 2, 2, 3. 노른자 동동 쌍화차는 코피 다음으로 인기메뉴. 잘생긴 디제이 오빠야가 있으면, 개근은 필수 부끄러움은 보너스였을 듯 싶다.
어릴때 먹었던 불량스런 식품은 죄다 문방구에서 팔았다. 학교가 끝나면 바로 집으로 가야하건만, 고양이가 방앗간을 못 지나가듯, 문방구 앞을 서성거리며 아폴로에 눈깔사탕, 쫀득이 등을 사먹었다. 그당시 구멍가게와 문방구를 하는 아이가 세상에서 가장 부러웠다. 그 당시 집 앞 골목길은 우리들 놀이터였는데, 다시 되돌아갈 수 없는 그때 그시절이 눈물나게 그립다.
▣ 관련글
2020/02/18 - 서울생활사박물관 별책부록 구치감동 차카게 살자
서울생활사박물관 별책부록 구치감동 차카게 살자
서울생활사박물관 구치감동 옛 북부법조단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서울생활사박물관으로 다시 태어났다. 건물 뼈대는 그대로이지만, 외관과 내부는 싹다 갈아 엎은 듯 싶다. 법조단지는 사라졌지만, 단 한곳은 남아..
onion02.tistory.com
'이야기풍경 > in seo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서와~ 고요한 창덕궁은 처음이지? 낙선재편 (29) | 2020.03.18 |
---|---|
어서와~ 고요한 창덕궁은 처음이지? 궁궐편 (48) | 2020.03.17 |
어서와~ 고요한 창덕궁은 처음이지? 후원편 (48) | 2020.03.16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 잊지 않고 깊이 새기겠습니다 (55) | 2020.02.28 |
문화역서울284 호텔사회 | 공간이 주는 특별함 (30) | 2020.02.25 |
서울생활사박물관 별책부록 구치감동 | 차카게 살자 (34) | 2020.02.18 |
서울생활사박물관 평범한 서울사람 우리들의 이야기 (28) | 2020.02.17 |
평화문화진지 옛 대전차방호시설 전쟁 말고 평화 (24) | 2020.01.07 |
서울 크리스마스 페스티벌 2019 | 올해도 어김없이 (32) | 2019.12.24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우리 민요는 피 땀 눈물 (22) | 2019.12.20 |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 세상은 여전히 아름답지 않구나 (29) | 2019.12.12 |
사람은 착하게 살아야죠 ㅎㅎ
오늘도 구경 잘하고 갑니다 ^^
서울생활사박물관에 새로운 전시공간이 있군요
다음에 갈때는 참고해야겠어요.. ^^
어머 이런공간도 있군요ㅎㅎ 뭔가 교도소는 무서우면서 티비에서 많이 나올법한 곳인거같아요 기회되면 남친이랑 가봐야겠어요
별책부록이란 표현이 아주 맘에 듭니다.^^
추억의 박물관이로군요..
신기한 박물관이네요!
절대 죄짓고 살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다음에 한번 들러야겠습니다!
구독과 공감 꾹 누르고 갑니다
이것 어떻게 사진으로 담았지 했는데,.. 박물관이였군요.. ㅎㅎ
정말 쾌쾌한 냄새가 날 것 같은 그때 그시절 현실감 넘치는 자취방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구치감 전시실 넘 신기하네요~!
평소에 볼 수 없는 것들이 많아서 구경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아요~
만화방 자취방도 넘 정겹네요^^
여기에 이런곳이 있는지 처음 알게 되네요.
엄청 재미있을거 같네요 ㅎㅎㅎ
포스팅 잘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태릉입구에 있군요
가보고 싶네요
착하게 살아야겠네요 ㅋㅋㅋ
서울생활박물관 많은 것을 담고있네요
죄짓지말고 착하게 살아야죠
전라북도 익산에가면 교도소 세트장에서
수용자 옷 입어봤습니다. 관광객들이 수용자 옷만 입던데요 .. ㅎㅎ
그러고보며 알게 모르게 많은 죄를 짓고 사는게 인간인지라 .. ^^
실제로는 절대 가면 안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옛 골목길 풍경이 낯설지 않습니다 ..
쫀득이 하나 들고 집으로 가는길을 기억해봅니다. ^^
오늘도 구경 잘 하고 갑니다!
죄짓고 못살죠 ..
이렇게 옛날로 돌아가는 체험 박물관은 참 재미있는거같아요 ㅎㅎㅎ 그런데 교도소라니 교도소가 있는 곳은 처음 보는데 정말 착하게 살아야한다 되새기고 갑니다
저도 수감자 체험은 하고 싶지 않습니다..ㅎㅎ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교도소 간접체험을 하였지만
정말 착하게 살아야 할 것 같아요.
제가 성인이 되었을때만 해도 커피숍에 DJ가 있어
음악을 신청했었는데 이젠 모두 추억이 되어 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