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비빔냉면과 칼국수에 이어 강된장비빔밥까지 다 먹어~ 가산동 민속식당 (in 현대아울렛)

주로 혼밥을 하다 보니, 메뉴 선택에 제한이 따른다. 위대하다면 상관없지만, 그러하지 못하기에 하나 아니면 2개가 마지노선이다. 2개도 포장이라는 옵션이 따르는데, 3가지 음식을 남김없이 먹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는 행복일 거다. 가산동 현대시티아울렛에 있는 민속식당에서 비빔냉면을 시작으로 칼국수에 강된장비빔밥까지 다 먹는다.

 

민속식당은 현대시티아울렛 가산점은 서울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9 6층에 있어요~

냉면, 칼국수, 강된장비빔밥을 들었을 때 남대문시장이 떠올랐다면, 당신은 맛잘알이 확신합니다. 왜냐하면, 민속식당은 1982년 남대문시장 비좁은 골목 한켠에서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조합은 그곳이 아니면 안 되는 줄 알았는데, 체인점을 만들었나 보다. 남대문시장이 주는 특유의 시끌벅적한 분위기는 아니지만, 조용하고 여유로운 분위기라 혼밥 하기에는 딱이다. 

 

먹는 공간이 별로 없는 줄 알았는데, 조리대 뒤로 조금만 걸어가면 널찍한 공간이 나온다. 혼밥 만렙이긴 하나 가끔은 멋쩍을 때가 있는데, 여기는 그럴 일이 전혀 없다. 12시 무렵만 피하면, 마치 전세를 낸 듯 여유롭게 맛을 음미하면서 천천히 먹을 수 있다.

 

단품으로 주문이 가능하지만, 다양하게 먹고 싶다. 칼국수와 강된장보리밥 그리고 냉면 중 메인을 정하고 정식으로 주문하면 다 나온다. 시장표 비냉을 좋아하므로, "비빔냉면 정식(12,000원) 주세요."

 

민속식당 비빔냉면 정식 등장이요~

맵(순)둥이가 먹기에는 자극적인 겉절이지만, 칼국수와 강된장비빔밥이 슴슴해서 잘 어울렸다. 허나 리필은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많이 먹으면 속이 쓰리니깐. 그리고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겠지만, 쬐그만 용기에는 식초와 겨자 소스가 들어있다. 

 

강된장비빔밥
꽁보리밥인 듯 보리가 많아요~

강된장이라서 짠맛이 강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셋 중에서 가장 심심했다. 그래서 간이 센 겉절이를 더하니, 조화가 좋다. 꽁보리밥인지 밥알 하나하나 씹는 맛이 살아 있고, 여기에 아삭한 콩나물과 상추가 더해져 식감이 재밌다. 열무김치와 고추장으로 비비는 보리밥과는 확연히 다르다.

 

칼국수

칼국수는 남대문시장 칼국수 골목에서 먹었던 바로 그 맛이다. 거기서 출발했으니 당연한 말인데, 분위기가 달라서 맛도 다를 줄 알았다. 은은하게 퍼지는 멸치육수 사이로 쫄깃한 면발이 헤엄치고 있다. 감자는 한 개뿐이지만, 애호박과 부추, 유부 고명은 적당히 들어있다. 바닥에 빨간 양념이 깔려 있는지, 먹다 보니 매운맛이 살짝 올라온다. 그럼에도 칼국수+겉절이 조합은 포기할 수 없다. 

 

비빔냉면
식초와 겨자부터 투하~

시장표 냉면은 평냉과 함냉처럼 퀄리티를 따져서는 안 된다. 느낌적인 느낌은 함흥냉면에 가깝지만, 톡 쏘는 식초와 자극적인 겨자 그리고 조미료스러운 맛이 잘 어우러져 있다. 예전에는 가위질을 하지 않고 질긴 면발도 잘만 먹었는데, 세월 앞에 장사 없다고 이제는 가위가 필요하다. 

 

냉면을 먹을 때 가위질은 절대 하면 안 된다고 했는데, 왜 고집을 부렸는지 모르겠다. 자르고 먹으니 튈 염려도 없고, 양 조절도 잘 되고 겁나 편하다. 평양냉면처럼 툭툭 끊기는 면을 제외하고 가위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비냉 먹고, 칼국수 먹고, 보리밥을 먹는다. 이 순서대로 쭉 가도 되고, 변주를 줘도 되고 내맘이다. 그렇게 먹고 또 먹다 보면 어느새 빈 그릇을 만나게 된다. 혼밥을 하면서 3가지 음식은 먹어본 적이 거의 없는데, 요런 구성 느무느무 맘에 든다. 다음에는 칼국수를 메인으로 해서 뜨끈하고 시원한 국물을 흠뻑 마셔야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

까칠양파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