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도자박물관 상설전시실 "도자기로 보는 우리역사" 1부

우리나라의 도자문화는 넓게 동아시아권에 속하면서 이웃나라의 우호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했다. 중국 청자 기술을 조화시켜 천하제일의 비색청자를 완성했으며, 세계의 유행이 백자로 바뀌자 절제의 미의식을 조선백자에 담아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항상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 굴지의 도자문화국가로 부동의 위치를 가져왔다.

 

도자기로 보는 우리역사 전시실 입구

경기도자박물관의 도자기로 보는 우리역사는 도자문화의 발전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소장품 상설전시실이다. 고려청자에서 조선의 분청과 백자 등 우리의 역사와 전통을 담아낸 도자기의 발전 과정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거라고 안내문에 나와있다.


청자의 생산

통일신라 말에서 후삼국시대로 이어지는 9세기경 중국 월주요의 청자기술이 국내에 전해지면서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청자가 생산됐다. 초기청자는 기법이나 형식이 중국과 매우 유사했지만, 점차 형태와 문양, 유색이 고려인의 체질과 문화에 맞게 변모해 10~11세기경 고려청자 고유의 특징이 확립됐다.

청자완과 백자완 (고려11세기)
술이나 차와 같은 액체를 담는 청자 주름문 병 (고려10세기)
차를 담아 마시는 찻잔으로 추청되는 백자양각 연판문 잔 (고려12세기)


푸른빛을 머금은 비색 청자

고려청자는 11세기부터 왕실과 귀족은 물론 서민에게까지 널리 사용되고 정식 또한 계층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됐다. 이때에는 주로 음각, 압출양각, 투각, 상형과 같은 조각적 문양장식을 이용해 고유한 유색을 살린 순청자가 유행했다. 12세기 전반에는 고려인 스스로 비색이라 칭할 만큼 고려청자의 유색이 아름다워지면서 순청자가 절정을 이루었다.

청자음각 연당초문 표형주자와 청자음각 보상화문 발 (고려12세기)
청자양각 연판문 대접 (고려12세기)
청자양각 모란문 대접 (고려12~13세기)


공교한 기술의 상감청자

고려 초부터 등장한 도자기 상감기법은 12세기에 이르러 청자의 주요 장식으로 널리 애용되었다. 상감청자는 다양한 회화적, 도안적 문양이 표현되고 장식성이 강조되면서 유색은 점차 투명하게 바뀌어 비색청자와는 또 다른 고려청자의 조형미를 보여준다. 

청자상감 운학문 주자 (고려13세기)
고려 후기 청자의 조형미를 잘 보여주는 청자상감 연지문 편병 (고려13세기)


고려청자의 쇠락

13세기말부터 원의 간섭과 물자수탈로 고급청자 생산이 곤란해졌으며, 14세기에는 조세제도 문란과 집권층의 사치, 홍건적의 침략으로 청자의 생산여건이 더욱 열악해졌다.

청자상감 연당초문 대접 (고려14세기)


조선식 상감청자, 상감분청

분청사기는 고려 말 전국에 흩어진 강진의 청자장인들이 각지의 지역민이 요구하는 조질 상감청자를 만들면서 시작됐다. 청자의 기술과 서민의 생활양식을 기반으로 탄생한 조선식 상감청자 즉, 분청사기는 15세기 전반 조선왕실과 관청에 공납되면서 그 품질이 향상되었다.

분청상감 '사선'(그릇 안바닥에 흑상감된) 명 완 (조선15세기)
분청상감 초화문 매병 (조선15세기)


정연한 인화분청, 공납제도와 관사명 분청

분원 설치 이후 주요 공납품이었던 분청사기가 도난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태종 17년에는 납품할 관청이름을 그릇에 새기도록 했으며, 세종 3년에는 품질향상을 위해 만든 사람의 이름을 그릇에 새기게 했다.

분청인화 국화문 합 (조선15세기)
분청인화 '예빈'명 대접 (조선15세기)는 예빈시에 공납된 분청사기발
분청인화 '내섬'명 접시 (조선15세기)


조화분청·박지분청

몸통에 백토를 바르고 태토가 보이도록 백토면에 문양을 음각하거나 쓱쓱 긁어낸 조화·박지 분청은 조각적 면모와 회화적인 감각을 동시에 보여준다. 분청사기의 여러 기법 가운데 가장 개성적인 기법이다.

코끼리의 형상을 본떠 만든 제례의식용 분청 상준 (조선16세기)
분청조화 모란문 항아리 (조선16세기)


거침없는 철화분청

철화분청은 흰 백토분장면에 검은 철사 안료를 사용해 문양을 그렸다. 색상의 극적인 대조와 간결하고 거침없는 붓놀림 그리고 분청사기 특유의 거칠고 투박한 맛을 잘 보여준다.

추상화를 연상시키듯 자유분방하고 거침없는 분청사기의 매력이 돋보이는 분청철화 당초문 병 (조선16세기)
분청사기 모란문 병 (조선16세기)


덤벙분청

분청사기 표면을 분장할 때 붓으로 칠하지 않고 백토를 물에 풀어 만든 걸쭉한 용액에 푹 담갔다 건져내는 덤벙분청은 그릇을 백토물에 담글 때 덤벙 소리가 난다 해 붙여진 기법이름이다.

덤벙 분청 완 (조선16세기)


분원설치 이전의 백자 제작

15세기 중반까지 조선의 자기는 대부분 분청사기였으며, 경기도 광주와 경상도 고령, 전라도 남원, 강원도 양구 등 일부 지역에서만 백자가 만들어져 중앙에 공납됐다. 고려청자의 기술을 계승한 상감기법은 조선초 백자에서 일시적으로 유행했다.

백자상담 '천'명 접시 (조선15~16세기)
백자상감 화문 병 (조선15세기)
백자상감 연화문 대접 (조선15세기)


백자 항아리의 세계

조선은 항아리의 나라라고 할 만큼 다양한 백자항아리가 제작됐다. 특히, 달항아리와 같은 문양이 없고 간결한 형태의 순백 항아리는 조선백자가 추구한 엄정하고 절제된 미의 세계를 가장 잘 보여준다.

백자 소문 항아리 (조선18세기)


조용한 힘, 조선의 백자

중국 것과 같이 웅장하거나 화려한 것이 아니라, 위엄스러우면서도 사치스럽지 않은 조선의 독자적 감성이 나타나는 새로운 백자를 만들었다. 

백자청화 운룡문 항아리 (조선18새기)
백자청화 모란문 항아리 (조선19세기)


국영백자제작소, 분원의 설치

조선 초 국가에서 사용되는 자기 그릇을 전국에서 공납받아 사용하던 방법은 수급이 불편하고 품질의 일관성을 지키기 어려웠다. 조정에서는 국가에서 필요한 백자를 전문적으로 생산, 공급하기 위해 1467년경 경기도 광주에 국영백자가마인 사옹원 분원을 설치했다.

백자 소문 편병 (조선15~16세기)
백자 병 (조선15세기 후반)
백자음각 '대'명 접시 (조선15~16세기)
자기제 밥그릇으로 기록되어 있는 백자 합 (조선16세기)


분원 백자,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서다

분원의 설립과 함께 꽃피던 조선의 백자제작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전국적으로 침체되었다. 분원의 가마는 적은 비용으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고, 그 결과 17세기 백자의 품질은 하락해 어두운 회백색을 띠는 백자가 만들어졌다.

백자 소문 잔 (조선16세기)과 백자 소문 발 (조선17세기)
액체를 담아두는 용기로 추정되는 백자 장군 (조선17세기)


철화백자, 조선왕실의 선택을 받다

분원백자의 주요 문양은 청화로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철화는 특수한 경우에만 조금씩 사용했다. 두 번의 전쟁 후 국가경제가 어려웠던 왕실에서도 값비싼 수입 청화대신 국산 철화 안료로 만든 철화백자를 사용하기로 했다.

백자철와 초문 병 (조선17세기 후반)
백자철화 매죽문 편병 (조선1640~1648년)

경기도자박물관의 상설전시 '도자기로 보는 우리 역사' 2부는 하단 링크를 클릭 또는 터치해주세요~

 

문명의 시작과 함께 한 도자 경기도자박물관 도자문화실

문명의 시작과 함께 한 도자 경기도자박물관 도자문화실도자의 목표는 유리와 같은 매끄러움, 쇠와 같은 단단함 그리고 옥과 같은 아름다움이라고 한다. 인간은 도기에서 회유도를 거쳐 청자를

onion02.tistory.com

 

 

경기도자박물관 상설전시관 "도자기로 보는 우리역사" 2부

경기도자박물관 상설전시관 "도자기로 보는 우리역사" 2부우리나라의 도자문화는 넓게 동아시아권에 속하면서 이웃나라의 우호적 교류를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했다. 중국 청자 기술

onion02.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