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동 길상사 꽃무릇
봄의 시작은 봉은사 홍매화라면, 가을의 시작은 길상사 꽃무릇이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임을 밝힌다. 암튼 가을이 왔으니 꽃무릇을 만나러 길상사로 간다. 살짝 이른감(9월 15일 방문)이 있다는 거, 안 비밀이다.
길상사에서 점심을 먹은 적이 있나 생각해보니 없다. 점심공양을 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먹을 기회가 없었다. 그때는 무료였던 거 같은데, 이제는 소정의 공양금(1,000원)을 내야 한다. 그리고 점심시간은 오후 12시부터 12시 50분까지다.
꽃무릇 개화시기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대체로 추석 연휴가 끝나면 가곤 했다. 이번에도 그렇게 했는데, 이른 추석이라는 사실을 놓쳤다. 만개는 아니더라도, 반띵은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길상사 꽃무릇 첫번째 포인트는 대실망이다.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계단 주위로 소담스럽게 핀 꽃무릇을 만날 수 있는데, 너무나도 소박하다.
소담이 아니라, 땅을 다 뒤집어 놓았는지 허전하다 못해 휑하다. 꽃은 피지 않았더라도, 줄기는 있어야 하는데 아무것도 없다. 설마 꽃무릇 시즌에 다른 목적으로 오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렇게 한 것일까? 잠시 몹쓸 생각을 했지만, 무슨 일이 있겠지 하는 생각으로 두번째 포인트를 향해 발길을 돌렸다.
길상사에서 꽃무릇을 만날 수 있는 두번째 포인트는 법정스님이 잠들어 계신 진영각으로 올라가는 작은 오솔길이다. 길상사를 도심 속 사찰이라고 하지만, 이렇게만 보면 산 속 깊숙한 곳에 있는 암자 같다.
지금과 달리, 예전에 이곳은 서울 3대 요정(料亭, 기생을 두고 술과 요리를 파는 집)으로 불리던 대원각이었다.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벌였던 관광사업 중 하나가 기생관광이었다. 주 고객층은 일본인이었고, 통금시간이 있던 시절이었지만 이들은 무사통과였다고 한다.
대원각의 여주인 김영한은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을 받아, 1987년 법정스님에게 대원각의 터 7,000여 평과 40여 채의 건물을 시주(그 당시 1,000억원)하면서 절을 세워달라고 간청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1995년 이를 받아들여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의 말사로 등록해 길상사를 세웠다. 김영한은 길상화라는 법명을 받았다.
허망했던 첫번째 포인트와 달리 여기는 그나마 꽃무릇이 소담스럽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데, 꽃무릇이 가장 어울리는 곳은 사찰이라 생각한다.
먼 옛날 토굴에서 정진하던 스님이 불공을 드리러 온 여인에게 반해 가슴앓이를 하다가 상상병으로 쓰러진 자리에 피어난 곳이 꽃무릇이다. 전설뿐만이 아니라, 꽃무릇은 사찰에서 주로 탱화나 불경을 접착하거나 방부제로 쓰기 위해 많이 심었다.
꽃무릇과 상사화는 일과 하나처럼 명칭이 다를 뿐, 같은 꽃을 부르는 이름인 줄 알았다. 그런데 엄밀히 다르다고 한다. 우선 꽃무릇은 꽃이 먼저 나오고, 상사회는 잎이 먼저 나온다. 둘의 공통점이라면, 상사화는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다. 그래서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해서 상사화라고 한다. 꽃무릇도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않는다.
사람이 많다는 건, 세번째 포인트에 도착을 했다는 의미다. 다른 곳과 달리 여기는 인물사진을 찍기 좋은 곳에 꽃이 있기 때문이다. 진영각을 앞에 두고 다시 걸음을 멈춘다.
아마도 이번 주가 만개 시즌이지 않을까 싶다. 조금 더 기다리면 되지만, 그때는 엄청난 무기를 들고 오는 사람들이 많아서 촬영시간보다는 대기시간이 더 걸린다. 좋은 포인트에는 어김없이 길다란 광각렌즈를 장착한 DSLR 카메라가 진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너무 일찍 오긴 왔다.
수술이 밖으로 나왔다고 해야 할까나? 꽃무릇은 아름다운 꽃보다는 특이, 독특, 특별이 먼저 생각난다. 확실히 가시는 아닌데, 손을 갖다 댄 적이 없다. 그리고 향기가 있다고 해야하나? 가까이 다가간 적이 없으니 향기를 맡은 적도 없다. 생김새 때문에 줌으로 당겨서 촬영만 할 뿐, 거리를 두고 바라만 본다.
법정스님은 2010년3월 11일 길상사에서 입적했다. 진영각은 법정스님의 진영과 각종 유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내부는 촬영불가다. 스님은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꽃무릇의 꽃말은 참사랑이며, 사전적 의미는 순수하고 진실한 사랑이다. 아~ 참사랑을 언제 했던가? 망각으로 사라진 기억을 되살리기 보다는 다시 참사랑을 하고 싶구나!
꽃이 지면 잎이 나온다. 꽃무릇의 잎이라? 늘 꽃을 보러 갔지, 잎을 보기 위해 갔던 적은 없다. 올해는 이른감이라면, 내년에는 아주 늦은감에 가서 잎이 가득한 꽃무릇을 만나고 올까나. 배가 부르니 이런 소리를 한다. 내년 꽃무릇 시즌이 돌아오면, "잎은 무슨 잎, 꽃 보러 가야지" 분명히 이럴 거다.
천천히 둘러보면 한시간 정도 걸릴까? 깊은 산 속에 있는 사찰같지만,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사찰이다. 나무도 많고, 작은 계곡도 있어 여름과 초가을에 가면 꽤나 습하다. 고로 (산)모기가 많다. 모기 퇴치앱으로 잘 피했는데, 결국 광대뼈 부근에 훈장을 하나 달았다. 그래도 행복했다는 거, 내년에도 다시 오고 싶다는 거, 더 강력한 모기퇴치앱을 깔아서 "아윌비백"
(만개였을 때는 이런 풍경, 정말 절경이고요. 장관이네요~)
2020.05.04 - 길상사의 봄은 금낭화와 진한 모란 꽃향기
'멋을찾아서 > in seo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잠례는 왕비가 주관한 유일한 여성 의례 성북선잠박물관 (ft. 선잠단지) (6) | 2022.12.13 |
---|---|
은행잎이 만든 노란 카펫 덕수궁의 만추 (16) | 2022.11.30 |
도서관 아니고 책쉼터 (in 양천공원) (6) | 2022.11.10 |
가을 느낌 물씬 창경궁에서 (26) | 2022.11.04 |
그를 기억하는 집 백남준기념관 (15) | 2022.10.11 |
낙성대는 대학이 아니라 별이 떨어진 터(垈) in 낙성대공원 & 강감찬생가터 (12) | 2022.09.06 |
광장OK! 공원OK! 다시 돌아온 광화문광장 (feat.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8) | 2022.08.10 |
명품도시 한양 | 귀한 보물들을 직관해~ (in 서울역사박물관) (11) | 2022.08.09 |
일제강점기에 지은 가회동 백인제가옥 (20) | 2022.06.29 |
비행기와 소리분수의 환상적인 콜라보 서서울호수공원 (25)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