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팔도 진미 모여라"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 (in 국립고궁박물관)

임금의 건강은 나라의 안위와 직결되었다. 아프면 큰일이니, 진귀한 재료로 만든 음식으로 몸을 보양했다. 그래서 임금의 몸을 옥체라고 하나 보다. 전국의 진미는 궁으로 모였고, 궁궐의 요리사들은 진상받은 신선한 먹거리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수라상에 올렸다. 궁중음식을 공경과 나눔의 밥상이라고 하던데, 그렇지 않았던 시절도 있었다. 그 밥상을 먹으러 아니 보러 국립고궁박물관으로 간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 12에 있어요~

궁중음식은 국왕과 왕실 가족들의 일상을 유지하는 끼니이자 전국에서 올라오는 식재료를 통해 백성의 삶을 살폈다. 재해로 백성의 삶이 어려울 때는 반찬을 줄여 그들의 고통에 공감을 표하는 통치의 방편이었다. 돌아가신 조상에게 올리는 음식은 왕이 매일 먹는 일상식보다 더 엄격한 기준으로 격식을 갖추었다.

궁중음식은 임금을 향한 공경과 조상에 대한 효심의 발현이자 신하와 백성들에게 기쁨과 위로를 전하는 매개가 되었다고, 안내문에 나와있다. 

 

선조 대 경로잔치 음식을 준비하는 주방 그림
국자와 건지개 / 거품기와 뒤집개

조선시대 궁중음식을 담당한 관청은 사옹원으로, 전국에서 진상되는 식재료를 받아 여러 전각에 공급하거나 왕과 왕실 가족의 식사는 물론 관리들의 식사까지 책임졌다. 궁중 요리사는 숙수라 불리는 남성들로, 이들은 밥을 짓는 반공, 생선과 구기를 굽는 적색, 두부를 만드는 포장, 떡을 빚는 병공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철제 솥과 유제시루
도마와 식칼 / 주걱, 밀대, 액체의 용량을 재는 되, 시루

소주방은 불을 때는 주방이라는 뜻으로 일상식을 만드는 내소주방과 왕실의 혼례, 생일과 같은 잔치, 제례 등 행사 음식을 준비하는 외소주방으로 나뉘었다.

수라간은 간단한 요리와 함께 완성된 음식을 상에 차리를 공간이었으며, 생물방 또는 생것방이라고 불린 생과방은 오늘날의 디저트인 떡, 다식, 과일, 차와 같은 다과류, 죽과 미음처럼 가볍게 들 수 있는 별식류를 만들었다.

 

은기는 최고급 식기로 주로 돌아가신 조상에게 올리는 상식이나 엄숙한 의례의 자리, 귀한 사신에게 베푸는 잔칫상에 올라 상의 격식과 예를 더했다.

 

백자는 검소한 기풍을 중시하던 조선 왕실의 일상 식기로 애용되었다. 은기처럼 원료값이 비싸지도, 유기처럼 관리가 어렵지도 않으면서 목기보다는 훨씬 견고하고 쓰임새가 좋았기에 백자는 조선 초부터 임금의 그릇인 어용기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법랑 식기는 청 왕실에서 사용한 고급 공예품으로 조선 왕실로 전해져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유기(놋쇠 그릇)는 담긴 음식의 형태와 온기를 오래도록 유지시켜주어 냄비, 신선로와 같은 조리용기로 즐겼사용되었다. 잔치음식과 제사음식을 담는 그릇으로도 꾸준히 사랑받았다.

 

은수저와 수저집

혼밥도 아니면서 조선시대 왕실과 사대부가는 각자 하나 이상의 독립된 상을 받았다. 식사의 주인공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상을 사용했다. 일상의 식사 때는 반과 상이 두루 쓰였고, 안은 왕실의 혼례, 잔치 등의 의례 때 장식상의 일종으로 사용했다.

 

물건을 감싸거나 덮어둘 때 사용한 보자기!
은제 수저 그릇과 보자기

먼 거리로 식재료를 나르거나, 많은 양의 음식을 나누어 줄 때는 목판과 가자가 쓰였다. 목판은 직사각형의 나무 쟁반으로 음식을 담아 비교적 짧은 거리를 운반할 때 사용했다. 

가자는 지붕이 없는 낮은 가마 형태의 이동수단으로 대량의 음식을 한꺼번에 담거나 먼 거리를 가야할 때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음식을 담을 때, 넓은 보자기를 덮어 이동 중에 음식이 상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했다.

 

고종과 순종 대의 수라상 차림으로 대원반
곁반(소원반)
곁반(책상반) / 전골틀 화로

수라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에게 올리는 진지를 높여 부르는 말로, 왕은 하루 평균 다섯 번의 식사를 했다. 수라상은 오전 10시에 올리는 아침수라, 오후 5시에 올리는 저녁수라가 있다.

흔히 알려진 12첩 반상은 고종, 순종 대의 마지막 상궁들에 의해 전해진 수라상의 모습이며, 이전에는 대개 7가지 정도의 반찬이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음식 취향 MBTI
나와 세종대왕의 입맛이 같구나~

왕실 가족묘인 왕릉의 제향음식은 종묘 제향과 달리 가축을 도살해 제물로 올리는 생고기를 올리지 않으며, 고기가 일체 포함되지 않아 소식이라고도 한다. 고기를 제외한 곡류와 과일 중심의 제수 구성은 고려시대 왕릉의 제향을 사찰에 맡겼던 관습에서 이어졌다.

 

1892년 궁중 잔치를 그린 병풍

1892년 고종의 41세 생신과 즉위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경복궁에서 잔치가 열렸다. 진찬은 총 3일에 걸쳐 진행됐는데, 임금과 신하들이 주로 참여하는 외진찬과 왕실 여성들이 참여하는 내진찬, 밤에 거행하는 야진찬, 세자가 잔치를 위해 수고한 이들에게 베푸는 회작연과 아연의 총 5단계로 이루어졌다.

그중 근정전에서 열린 외진찬은 세자가 잔치의 주인공 고종을 모시고 베푸는 으뜸 잔치로, 대탁을 시작으로 마지막 작설차에 이르기까지 총 10번의 음식상을 받았다.

 

미수는 잔칫날 술을 바칠 때마다 같이 올리는 안주상이다. 규모가 가장 큰 잔치에는 술을 아홉 번, 가장 작은 잔치에는 세 번 올렸다. 

9번의 안주상은 서로 다른 7가지의 찬품으로 구성되어 총 63가지의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 9번의 술잔과 7가지 찬을 올린 사례는 궁중 잔치 중에서도 매운 드문 경우로, 이를 통해 화려했던 고종의 생신 잔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초미- 열구자탕, 천엽전유화, 전복초, 생밤, 돼지고기전유화, 소콩팥편육, 소만두과
2미- 완자탕, 해삼전, 생소라초, 유자, 낙지전유화, 삶은달걀, 홍미자
3미- 골탕, 생선문주, 굴전유화, 석류, 붕어찜, 생전복회, 백매화강정
4미- 저포탕, 게알전, 생조개회, 대추, 감화부, 해삼찜, 백자강정
5미- 양숙탕, 건낭병, 생전복초, 호두, 생선만두, 숭어찜, 다식과
6미- 말린전복탕, 홍합찜, 알쌈, 은행, 고기만두(천엽과 양), 전복화양적, 황세건반강정
7미- 돼지고기젓국탕, 꿩전유화, 우족초, 백미자, 어숙회, 동아문주, 잣
8미- 오이탕, 꿩고기초, 각색채회, 말린밤, 낙지화양적, 족편, 홍세건반강정
9미- 칠기탕, 생합전유화, 소허파볶음, 산에서 나는 과일, 병시, 어화양적, 연행인과
궁증 잔치음식 만들기

아기 왕자의 백일에는 새하얀 백일 떡을 나누고, 국왕의 만년 생신에는 기로연을 열어 원로대신들에게 잔치상을 베풀며 장수의 끼쁨을 함께 했다. 군사들에게는 술과 고기로 격무의 어려움을 씻어 주고, 임금이 행사할 때 이를 보기 위해 모인 백성들에게 쌀을 나눠줬다. 

임금은 나라에 변고가 발생하면 수라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양이나 가짓수를 줄이는 감선을 시행했다. 이는 임금 스스로 부덕함을 반성하고, 일상에서 미약하게나마 백성의 아픔을 헤아리기 위함이었다고 하는데, 그런 어진 임금이 그리 많지 않을 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든다. 

과연 고종은 미수에 나온 모든 안주를 다 먹었을까? 전시를 보고 나오면서, 지금 글을 쓰면서도 매우 몹시 궁금하다. 문득 궁중떡볶이가 먹고 싶다. 이것도 궁중음식이니깐.

■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은 2025년 2월 2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