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 철산대교 ~ 광명대교
벚꽃 시즌이 시작됐는데, 한 곳으로 만족할 수 없다. 서서울호수공원을 찍고, 남산 벚꽃길로 가려고 했다. 그런데 이동을 하던 중, 안양천에서 흩날리던 벚꽃을 마주하게 됐고, 여기다 싶어 버스에서 급 내렸다. 아는 맛은 무섭지만, 아는 곳은 반갑다. 2년 만에 다시 찾은 안양천 둑방길 철산대교에서 광명대교 구간이다.

안양천은 경기도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광명시, 부천시, 시흥시, 과천시와 서울시 남서부 관약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영등포구, 양천구, 강서구 일대를 북류하는 강(34.75km)으로 한강의 제1지류이다.
모든 곳이 다 그렇지 않겠지만 구로구와 양천구 그리고 광명시 구간은 봄이면 흐드러지게 핀 벚꽃을 만날 수 있다. 지난달 부산 온천천 벚꽃을 제대로 못 본 한(?)이랄까? 온천천의 아쉬움을 안양천에서 풀다.


철산대교에 서서, 어느 곳으로 가야 하나 잠시 망설였다. 왼쪽은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오른쪽은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이다. 둘 다 벚꽃은 만발인데, 가산동 구간이 좀 더 탐스러워 보인다. 특히 둑방길이 다른 곳에 비해 흙길이 아니라서 흙먼지가 없고, 공간이 넓어서 걷기에 좋다.


같은 날이고, 시간만 차이가 날 뿐인데, 아무래도 서서울호수공원은 외진 곳에 있어 다른 곳에 비해 개화가 늦나 보다. 4월 7일 2시무렵의 안양천 벚꽃 풍경이다.


금요일부터 사람이 몰릴 듯 싶어 일부러 하루 먼저 왔고, 점심시간을 피해서 왔는데도 사람이 많다. 아침 일찍 왔으면 좀 더 멋지게 담았을 텐데 살짝 아쉽다. 그래도 만개한 벚꽃을 보니 기분이 좋다.



수명이 얼마나 됐는지 모르지만, 가산동 방향 철산교와 광명교 구간에 있는 벚나무는 키가 엄청 크다. 나지막하면 녀석(?)의 모습을 가까이 담을 수 있는데, 키다리 벚나무라서 줌보다는 전경에 집중하게 된다.






철산대교에서 광명대교까지 약 1.5km다. 어느 곳을 찾아가기 위해 1km 이상 걷는다고 하면 짜증부터 나지만, 벚꽃과 함께 걷고 있는 지금은 그저 좋기만 하다. '너를 보기 위해서라면 일년의 기다림은 전혀 아깝지 않아~'











광명대교를 건너 좋아하던 빵집으로 가는 중이다. 아까(가산동)와 달리 여기(철산동)는 벚나무 높지 않아서 녀석(?)을 가까이 담을 수 있다.





사진을 찍고 5일이 지났을 뿐인데, 어느새 벚꽃엔딩이다. 벚꽃 시즌이 고작 3~4일이라니, 이러니 벚꽃 소식이 들려오면 무작정 밖으로 나가게 된다. 흐드러지게 핀 화사한 벚꽃과 안녕을 하고나니, 어느새 여름같은 봄이다. 아직 4월이고 봄을 더 느끼고 싶은데, 어느새 여름이 성큼 다가왔다.

2022.04.11 - 2022 벚꽃 나들이 서서울호수공원
2022 벚꽃 나들이 서서울호수공원
서서울호수공원 올해는 꽃샘추위로 인해 개화시기를 늦더니, 며칠새 벚꽃이 활짝 폈다. 다른 꽃과 달리 빨리 왔다가 후다닥 사라지는 녀석(?)이기에 때를 놓치면, 다시 일년을 기다려야 한다. 202
onion02.tistory.com
'멋을찾아서 > in seo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와 소리분수의 환상적인 콜라보 서서울호수공원 (25) | 2022.06.09 |
---|---|
진한 장미 향기에 취해~ 푸른수목원 장미원 (feat. 항동철길) (19) | 2022.06.07 |
연두빛으로 물든 4월의 어느 봄날 석파정에서 (13) | 2022.04.27 |
보라매공원에 겹벚꽃이 활짝~ (27) | 2022.04.25 |
2022 벚꽃 나들이 여의서로 벚꽃길 (feat. 도림천 벚꽃터널) (26) | 2022.04.15 |
2022 벚꽃 나들이 서서울호수공원 (16) | 2022.04.11 |
보자기, 일상을 감싸다 서울공예박물관 (14) | 2022.04.07 |
자수, 꽃이 피다 서울공예박물관 (22) | 2022.03.29 |
봄이 왔네 봄이 와~ 청계천 매화거리(하동매실거리) (21) | 2022.03.23 |
장인의 숨결이 느껴지는 서울공예박물관 (21) | 2022.03.01 |
까칠양파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