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미군기지에서 용산공원으로
울산 태화강과 순천만은 국가정원인데, 용산공원은 국가공원이다. 정원과 공원의 차이는 모르겠지만, 암튼 국가가 관리하는 곳이다. 그만큼 잘 만들고 가꾸어 나가겠다는 의미이기에, 용산공원의 미래는 밝다. 전반전은 나들목에서 누리방까지, 후반전은 오손도손 오픈하우스에서 용산공원 전시공간까지다.
누리방도 장교숙소이긴 하지만, 카페로 꾸며서 주거공간 느낌은 거의없다. 그에 반해 오손도손은 당시의 생활과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똑똑똑, 실례합니다!
안으로 들어오면 왼편에 욕실과 계단이 있고, 오른편으로 아이들 놀이방과 주방 그리고 거실이 이어져 있다. 외관도 그러하더니, 내부도 꽤 이국적이다.
1958년부터 용산기지의 남쪽에 위치한 사우스포스트에는 한국으로 발령받은 미군들의 가족이 생활하였다. 오손도손은 다른 시기에 용산기지에서 생활하던 여섯 가족들의 이야기들을 통해 이 장소의 각별하고 소중한 애정을 담아냈다.
거실에서 만난 가족은 조이와 잭 배넷 남매로, 2014년 아빠를 따라 한국에 왔고 용산기지 영내에 있는 서울 아메리칸 초등학교를 다녔다.
거실에서 주방 그리고 아이들 놀이방까지 옆에 통로가 있는데도, 이렇게 벽을 뚫어서 열린 공간으로 만들었다. 감시용은 과한 상상이고, 소통의 창구로 활용하지 않았나 싶다.
2층에는 총 4개의 방으로 되어 있고, 각 방에는 이곳을 머물다간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침대나 가구 등 실제 어떻게 생활했는지 재현을 했으면 좋았을텐데, 허전하게 텅 비어있다.
누리방과 오손도손 오픈하우스를 제외하고 나머지 건물은 함부로 들어갈 수 없다. 그러나 활용방안을 수립해 보수공사가 끝나면 개방을 한다고 하니,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지 기대된다.
두루두루는 파빌리온으로 야외공간이다. 3개 건물이 모두 두루두루를 향하고 있다. 아이들은 맘놓고 뛰어 놀았을 테고, 주말이나 행사가 있는 날에는 가족파티가 열렸을 거다. 높은 담장과 철조망 속 이렇게 따뜻한 분위기였다니, 살짝 이질적인 느낌이 든다.
용산의 담장은 상징존으로 허물어진 실제 벽돌담장을 전시해 놓고 있다. 여전히 남아 있는 담장도 하나둘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남은 자리는 푸르른 공원으로 채워질 것이다.
미군기지는 용산 면적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 중 장교숙소 5단지는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2016년을 시작으로 용산기지의 평택이전이 진행 중이며, 부지반환절차와 추가적인 상세조사를 거쳐 공원조성 실행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용산은 물류와 교통의 중심지로 군사적 가치가 높아, 외국군이 용산을 가만두지 않았다고 한다. 13세기 고려말에는 몽고군이, 16세기 임진왜란때는 왜군이, 19세기 청일전쟁 시에는 일본군이 용산을 주둔지로 사용했다.
해방 후 미7사단은 군사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용산기지에 정착하게 된다. 1948년 주한미군이 철수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다시 용산기지를 사용하게 되고, 한미연합사령부가 창설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한미 정상 간에 용산기지 평택 이전을 합의하고, 용산공원조성 특별법을 제정하게 된다.
가야할 곳은 다 갔지만, 여전히 용산공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이렇게 멋진 풍경을 두고 발길이 떨어지지 않으니깐.
온전한 용산공원이 되려면 좀 더 기다려야 한다. 이제 막 시작했으니깐. 그때가 오면, 가로막혔있던 장벽과 철조망은 사라지고, 남산타워가 훤히 보이는 멋진 공원이 되어 있을 거다. 너무 확 변하지 말고, 용산미군기지였던 모습도 조금 남아 있었으면 좋겠다.
나름 베스트 컷! 용산공원은 입장료는 없으며, 외부공간은 9시~18시, 내부공간은 9시~17시까지 운영한다. 용산공원과 용산가족공원을 혼동할 수 있으니, 지하철역은 중앙선 서빙고역, 주소는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221다.
2021.11.17 - 용산 미군기지 아니고 용산공원이라네 (전반전)
용산 미군기지 아니고 용산공원이라네 (전반전)
용산 미군기지에서 용산공원으로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던 그 곳이, 116년 만에 활짝 열렸다. 전면 개방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미군장교숙소 5단지는 금단의 땅이 아니라 누구나 갈 수 있는
onion02.tistory.com
'멋을찾아서 > in seou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화문 600년 세가지 이야기 "광화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 | 2022.01.18 |
---|---|
광화문 600년 세가지 이야기 "고궁연화" 국립고궁박물관 (13) | 2022.01.13 |
광화문 600년 세가지 이야기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 서울역사박물관 (17) | 2021.12.14 |
비대면으로 떠나는 경복궁 궁온 별빛야행 (16) | 2021.11.30 |
한옥카페 아니고 궁궐카페 경복궁 생과방 (feat. 수문장 교대의식) (29) | 2021.11.26 |
용산 미군기지 아니고 용산공원이라네 (후반전) (21) | 2021.11.18 |
용산 미군기지 아니고 용산공원이라네 (전반전) (19) | 2021.11.17 |
달빛을 따라 밤의 석조전에 오르다 (feat. 덕수궁) (27) | 2021.11.15 |
만추 푸른수목원을 거닐다! (24) | 2021.11.09 |
고궁의 밤은 신비하여라 경복궁 별빛야행 (25) | 2021.11.01 |
그때는 중앙정보부 지금은 남산예장공원 그리고 기억의 터 (22) | 2021.10.07 |
미국 드라마 배경 같아요 ㅎㅎ
이런 곳이었네요. 기회가 될때 한번 가봐야겠습니다. ^^
오 ~ 이렇게 개방이 다 되어 있었군요
용산공원 ~ 진짜 볼거리도 많아서 좋은거 같아요^^
가을단풍과 함께 멋지네요
다음에 기회되면 들려봐야겠어요. ^^
요새 여기가 그렇게 핫하다는데ㅋㅋㅋ
비밀댓글입니다
용산미군기지 부지가 어마어마했나 보네요.
철조망과 담장 안쪽에는 다른 세상인 듯 보입니다.
그 곳만의 마을을 만들고 생활을 하고 있었네요.
폐쇄된 공간을 개방을 하고 공원으로 만드는 건 좋지만, 이질적인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이렇게 사진으로나마 볼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감사합니다~ㅎㅎ
드디어 우리땅을 찾아오는 건가요? ㅋ
잘 봤네요~^^
한번가봐야겠습니다 ㅎㅎ 진짜 미국같아요
개방이 되었네요 ㅎ미국 비슷한거 같아요 ㅎ
어머나 이국적이네요^~^;;;
용산가족공원이 완성되면 용산이 강남을 압도할 거라는 기대심리가 컸었죠. 저도 옛날 미군부대 들어가 봤었는데 완전 신천지였던 기억이 납니다ㅎㅎ 다만 이태원 상권이 죽는데 일조해서 그게 좀 아쉬워요ㅎ
저렇게 안에 볼 수 있도록 되어있어서 너무 좋네요 ㅎㅎ 용산에 간다면 한 번 들렸다오면 좋을 것 같아요
용산공원의 가을을 보니 역시 우리나라 ~
미군들 삶의 모습도 구경할 수 있도록 해 놓았네요
용산미국기지 부지 규모가 어마어마했네요
아직 공원화 되려면 멀었다니 장기전으로 가야할 것 같은데
어떤 모습으로 변모할지 기대가 되네요,,.^^
예전 용산기지의 주거공간까지 덕분에 잘 구경했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