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통영 충렬사
동피랑과 서피랑은 못가더라도 여기는 꼭 가야 한다. 통영하면 떠오르는 위인 중 가장 먼저 생각나는 분이기 때문이다. 햇살 좋은 봄날, 그분을 뵈러 충렬사로 향했다.
통영여행 둘째날 아침, 숙소에서 밍기적 밍기적 시간을 때울 수도 있었다. 그러나 먹거리는 다양하게 즐겼는데, 볼거리는 봉숫골 말고는 딱히 없다. 먹부림 여행이 컨셉이긴 하지만, 이대로 갈 수는 없다. 가고 싶은 곳은 참 많았지만, 이순신 장군을 뵈러 충렬사에 왔다.
통영 충렬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선조 39년 왕의 명령에 따라 통제사 이운룡이 세웠다. 현종 4년에 임금으로부터 충렬사라는 현판을 받은 사액사당이 된 이래도 역대 수군통제사들이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는 지낸다고 한다. 예상했던대로 유물전시관은 휴관이라, 경내만 둘러봤다.
충렬사는 정당, 내삼문, 동재, 서재, 중문, 숭무당, 경충재, 외삼문, 강한루, 유물전시관, 정문 등의 건물이 있다. 장소가 장소인지라 경건한 맘으로 들어왔는데, 강렬한 레드빛에 시선을 빼앗겨 버렸다.
충렬사 입구 길 양쪽으로 늘어서 있는 동백나무는 본래 네그루였으나 지금은 두그루만 남아 있다고 한다. 나이는 400여 년 정도 추정되며, 키는 6.3m, 둘레는 1m다. 사방으로 넓게 퍼진 가지는 지금이 7m나 된단다. 통영에서는 음력 2월이면 거센 바닷바람을 달래기 위해 풍신제인 할만네를 지내는데, 그때 동네 아낙들이 정한수 물동이에 동백꽃을 띄우는 풍습이 있다.
옛부터 충렬사를 찾은 많은 시인 묵객들이 강한루 위에 올라 충무공의 큰 덕을 되세기며 동백 고목과 더불어 후원의 푸른 죽림을 자주 시제에 올렸던 누각이다. 젼형적 조선의 팔작지붕 양식으로 1988년에 복원 되었다.
통영 충렬묘비는 충무공 이순신의 충절과 업적을 후대에 전하기 위해 세운 비다. 비문은 광해군 6년에 좌의정 이항복이 지었고, 비석의 위쪽에 '통제사 충무이공 충렬묘비명'이라고 되어 있는 전서체의 글씨는 김수향이 썼다. 비문에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공훈에 대한 칭숭과 그에 대한 존경 및 사모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한다.
내삼문은 정당의 출입문으로 삼문 중 가장 안쪽의 문이다. 단아하면서도 정교한 건축양식으로 조선중기 삼문조형의 정화라고 한다. 통용문인 양쪽 협문을 낮게 만든 것은 몸을 낮추는 삼가는 몸가짐으로 출입하기 위함이다.
정당은 민족의 수호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영령에 제향을 올리고 공의 정신과 위훈을 만대에 기리기 위하여 제7대 통제사 이운룡이 선조의 명을 받아 세웠다고 한다. 충무공 한분의 위패를 모시고 역대 통제사가 약 300년간 제향을 받들어 온 가장 신성한 장소다. 그래서 내부는 촬영하지 않고, 바라만 봤다.
예상을 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왜경이 장군의 위패를 칼로 부수고, 삼문의 태극문양에 덧칠해 일장기로 바꾸고 또 제사를 올리지 못하도록 정당에 못질하는 수난을 겪었다고 한다. 그네들 입장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철천지 원수였을테니깐. 그래도 참 유치찬란하다.
줌으로 당겨보니, 서포루다. 서피랑에 못 갔는데, 이렇게라도 보니 좋다고 해야 하나? 보고 나니 갈 걸, 살짝 후회가 된다. 충렬사로 오면서 99계단에 피아노계단도 봤다. 이번에는 놓쳤지만, 다음에는 모두 다 가보고 싶다.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 있습니다." 아직 영화 명량을 못 봤는데, 충렬사에도 다녀왔으니 꼭 챙겨봐야겠다. 충렬사하면 충무공 이순신이었는데, 앞으로는 동백꽃이 먼저 생각날 거 같다.
통영 세병관은 조선시대 관아다. 오긴 왔는데, 딱 여기까지다. 왜냐하면 안으로 들어가지 않았으니깐. 입구컷만 담고는 충무김밥을 먹으러 강구안으로 향했고, 밥을 먹은 후 통영과 안녕을 했다. 여행은 설렘과 아쉬움 사이라서, 자꾸만 떠나고 싶은가 보다.
'이야기풍경 > in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고 마시고 힐링하라 경남 거창 이수미팜베리 스타팜 (12) | 2020.07.16 |
---|---|
자연이 반갑게 맞아주는 경남 거창 이수미팜베리 스타팜 (17) | 2020.07.15 |
대전역 옆 대전중앙시장 (feat. 누룽지) (48) | 2020.06.11 |
여름 향기 가득한 대전 한밭수목원 (56) | 2020.06.09 |
여름 장미향기로 물들다 대전 한밭수목원 (36) | 2020.06.08 |
경남 통영 충렬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모신 사당 (26) | 2020.04.13 |
경남 통영 중앙전통시장 싱싱한 활어회에 건어물까지 쌍엄지척 (48) | 2020.04.10 |
경남 통영 호텔야자 통영항여객선터미널점 편안한 잠자리 굳 (40) | 2020.04.09 |
경남 통영 봉숫골 흔들리는 벚꽃 속에서 라일락향이 느껴진거야 (42) | 2020.04.01 |
경기 시흥 오이도 빨간등대 전망대에 올라 바다를 보라 (35) | 2020.03.12 |
경기 시흥 오이도 함상전망대 바다가 보고 싶어서 (48) | 2020.03.10 |
평화로워 보이는 분위기 좋네요 ^^
앗 전시관은 안 가셧나요?
포스팅잘보고 갑니다.
월요일 한주가 시작되었네요.
한주도 화이팅해요~^^
ㅎㅎ통영날씨가 엄청 좋았네요!
사당 입장료가 있다는 것이 의외네요
관리비 차원에서 받는 것이겠지만
웬지 생소하기도 합니다..
멋스러운 풍경이 좋아 보입니다
꼭 가봐야 할 곳이네요 ㅎㅎ
추천 감사합니다!
일본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무시무시한 적이었겠지요.
그래서 일제강점기에는 왜경이 장군의 위패를 칼로 부수고, 제사를 못 지내게 방해까지 했었군요.
하늘을 뒤덮은 동백나무도 떨어진 동백꽃잎도 아름다운 날에 충렬사를 들르셨네요.
너무 좋네요~
저도 꼭 가봐야겠어요~
오 그냥 입구쪽에만 보고 오셨군요. 그래도 하늘이 도움이 되는 날이네여. 하늘의 멋진 배경이 멋진 메인 건물을 살려주고 있어여. 그래서 날씨도 사진찍는데 좋은 일 하는 그런 날이였네여. 동백꽃 정말 나무가 오래된 나무 같아여. 와..아주 높고 커네여. ^^
통영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조금만
끄적여 보자면...통영은 특유의 느낌이 분명 있어서
(눈에 보이진 않지만) 타 지역에서 볼 수 없는
감성으로 인해 종종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뭐라 형용할 수는 없지만
바다 갯내음과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한국의 나폴리'로 나름 정의 내리고 싶네요. ㅎㅎ
충렬사 다녀오셨군요~
경내만 둘러보셨다니 아쉽지만
그나마 출입이 통제되지 않아 다행이네요..
저도 통영가면 충렬사는 꼭 가볼 생각이었거든요..
동백나무에서 연륜이 느껴지네요..^^
충렬사, 덕분에 잘 보고 갑니다^^
동백꽃도 너무 예쁘네요~
충렬사 가는길에 서피랑을 지나치셨군요 .. 바로 옆인데
날씨 좋을 때가면 서피랑 전체가 반짝이지요.
서포루에 올라서서 바라보는 통영 앞바다가
정말 예쁘고 멋있답니다.
여행을 다녀오면 늘 아쉬움이 남지요.
아쉬움을 채우기 위해 또 떠나고, 아쉬움은 또 남고
그래서 여행은 늘 그립고 떠나고 싶은가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