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그랬듯 하루가 지나가는데, 12월 31일 하루는 다른 날과 달리 특별하다. 왜냐하면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날이기 때문이다. 이런 날, 블로그에 무슨 글을 쓸까나. 올해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블로그에 업로드한 글 중에서 나름 엄선(?)을 해서 나만의 베스트를 만들어 볼까? 일년 동안 조회수가 얼마이고, 최고 공감에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글은 무엇이고, 개인적으로 가장 맛나게 먹은 음식은 무엇, 감명 깊게 본 영화나 책은 무엇 등등.
예전에는 티스토리에서 알아서 만들어 줬는데, 파워블로거 제도가 사라지더니 이제는 요약정리도 안해주나보다. 월별통계를 보며 하나씩 하려고 하니 귀찮다. 올해처럼 내년에도 열심히 블로그 짓(?)을 할 예정이니, 베스트 따위는 관두고 까칠양파답게 하고픈 말이나 끼찰하게 해야겠다.
1. 다르다~ 틀리다~
노이로제가 있는 건, 다르다와 틀리다를 혼동하는 사람을 만나거나 볼때는 나도 모르게 눈살을 찌푸린다. 친구나 지인이라면 "틀리다가 아니고 다르다"라고 대놓고 잡아주는데 방송에서 누군가가 다르다를 틀리다라고 말할때는 '이건 아닌데'하면서 채널을 돌린다. 국어사전에서 다르다는 서로 같지 않다 혹은 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지는 데가 있다라고 나와 있고, 틀리다는 맞지 않고 어긋나다, 순조롭게 되지 않고 어그러지다, 셈이나 실제와 다르게 하다로 나와 있다. 예를 들어, 우리집 삼겹살은 다른집과 틀려요가 아니라 달라요라고 해야 한다.
2. 하실게요~ 가실게요~
"샴푸실로 가실게요. 검사실로 가실게요. 커피가 나오셨습니다." 과연 누구를 위한 높임말인가? 상대방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말일텐데, 어법에도 맞지 않고, 영혼없는 높임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친구나 지인이라면 하지 말라고 닦달을 하겠지만, 처음보는 사람에게 듣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틀린표현이라고 말할 수도 없고 참 난감하다. 그들도 모르지 않을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하는 건 무슨 이유일까?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그러려니하고 받아들이지 말고, 말을 해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동안은 눈살만 찌푸렸는데, 내년에는 밉상으로 보이더라도 그런 표현 쓰지 말라고 말을 해야겠다.
3. 같아요~ 같습니다~
국어사전에서 같다는 체언이나 의존 명사 '것'의 뒤에 쓰여, 추측이나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 비교하여 유사한 면이 많다, 의존 명사 '것'의 뒤에 쓰여, 그렇게 느껴지는 바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또 어떤 대상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나 불완전 어근 뒤에 붙어, '그 대상의 속성에 비할 만함'의 뜻을 더하여 형용사를 만드는 말이다.
"하늘은 보니, 곧 비가 올 것 같아요." 진짜 비가 올 수도 있고, 안 올 수도 있기에, 이럴때는 같아요라는 표현이 맞다. 그런데 "맛있는 것 같아요. 괜찮은 것 같아요. 아닌 것 같아요." 등등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말 같다로 끝맺음을 하는 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맛이 있으면 있고, 없으면 없다고 하면 되고, 괜찮으면 괜찮은 거고, 아니면 안괜찮다고 말하면 된다. 나의 감정을 옳고 그르다로 평가할 수 없기에, 같다가 아니라 명확히 말할 필요가 있다.
얼마 전까만 해도 별생각없이 말이나 글에서 같아요를 많이 사용했었다. 무슨 계기가 있었던 거 아니고, 어느 순간 이게 맞는 표현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때부터 말이나 글을 쓸때 더 조심하고 있다. 방송에서 "너무 맛있다"는 너무가 부정적인 표현이라서 정말 맛있다로 말은 바로 잡지 못해도 자막으로 수정을 하던데, ~인 것 같아요는 말도 자막도 그대로 나온다. 이러다 "사랑하는 것 같아요. 미안한 것 같아요. 고마운 것 같아요."라는 표현도 등장하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
ps...요즘은 본인 나이에 0.8을 곱해야만 현재 나이라던데, 그렇게 곱하기를 해서라도 3에서 머물고 싶다. 4라는 숫자를 앞게 두고 몇년을 살아왔지만, 여전히 낯설고 어색하다. 나잇값을 못할 정도로 철부지 어른은 싫고, 철없는 어른이는 괜찮지 않을까 싶다. 불의에는 겁나 까칠하지만 사람내음 나는 그런 인간이고 싶다. 2020년 12월 31일 까칠양파 생각입니다.
'토닥토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마지막 날 주절주절 | 자신의 감정을 같다로 표현하지 말아요~ (18) | 2020.12.31 |
---|---|
칭찬받아 마땅한 나! 참 잘했어요!! (15) | 2020.12.03 |
느림의 미학 (12) | 2018.08.05 |
작년 여름에 왔던 감기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 (18) | 2017.07.05 |
소신이냐 체면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16) | 2017.05.23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문재인 - 상식이 통하는 나라를 만들어주세요!! (12) | 2017.05.10 |
아줌마라고 불러다오~ (24) | 2017.03.16 |
양수리 봉주르여~ 안녕!! (18) | 2016.08.09 |
무서움은 호기심을 이긴다!! (24) | 2016.04.07 |
겨울이 오면 생각나는 그 이름~ "배추전" (32) | 2016.02.06 |
Good-Bye 2015!!! 그리고 9라는 숫자!!! (40) | 2015.12.31 |
다르다 틀리다 저도 왠지 신경쓰이더라구요 ㅎㅎ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우리는 은연 중에 '같아요..' 라는 표현을 많이 쓰지요
자신만의 감정인데도
객관적인 '같아요'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 들기도 합니다.. ^^
다시 한 번 저를 생각하는 글 인 것 같아요 ^^
저도 ~인 것 같아요 라는 말 참 많이 쓰는데 좀 줄여야겠어요 ㅎㅎ
블로그 답글 달 때도 생각해보니 많이 쓰고 있었네요~!
2020년 참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고생 많으셨어요~!
마지막 하루 잘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사실 어느 새 그냥 입버릇처럼 쓰던 말들은...
글을 쓸때도 그대로 옮기는 버릇이 들어있다보니 쉽게 틀려버리곤 하죠ㅎ
아는 건 바꿔나가야 하는 건데 ㅡ 참 쉽지가 않아요.
그래도 요런 포스팅을 보니 자기반성의 시간도 가지게 되고 좋네요. 감사합니다ㅎ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명확히 하는게 부담스러운 시대죠. 명확함과 딱부러짐이 부담없어지는 내년을 기대해봅니다
우앙 좋은 포스팅 잘보구 갑니다 ㅎㅎ
앞으로 자주자주 들려서 좋은글 읽고가고싶네요
구독과 찜누르고 갑니다 ㅎㅎ
새해복 많이받으시구 건강하세욥@.@
오늘 리뷰를 읽고 저도 반성을 하게 되는거 같아요 ^^
~ 인거 같아요는 항상 저도 많이 쓰는데 명확하게 자기 표현을 할수 있게 해야겠어요!!
오늘 좋은글에 하트쿵쿵!, 2021년에도 건강하고 행복하고, 새복 많이 받으세요
앙파님.. 그래요
그 생각 나름 저도 한번 생각합니다.
우리가 쓰는 표현법의 바른 표현이 어떤 것인지
실상에서 쓰여지는 것이 알고 있는 바른 표현법을
방해 합니다.
저도 많이 쓰는 단어 같아요.
이거 정말 수정 해야할 단어 맞습니다. ㅋㅋㅋ
아주 자주 씁니다. 같아요. 같습니다..
ㅎ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0년 올 한해동안 많은 맛집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신년에도 다양한 맛집 소개 부탁드립니다. 힘겨웠던 한해 마무리 잘 하시고 신년에도 좋은 일, 행복한 일 가득하시길 기도드립니다^^ 건강하세요!
올한해도 수고 많으셨어요
마무리 잘하시고 신축년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저도 아직 ~같다 라는 표현을 많이 합니다
좀 고쳐야 되겠습니다
한해 수고하셨습니다
사람들 생각이 다 틀리니까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은 블로그 글쓰기를 잘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쓰면 까칠양파님에게 혼날 터이니 정신 차리고 잘 쓰겠습니다.
다르다와 틀리다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는 저도 많이 신경 쓰입니다.
세상을 이분법으로 네 편 내 편을 가려서 그런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명확한 표현을 사용해서, 적을 만들기 보다는
같다는 애매한 표현으로 양다리 걸치는 것이기도 하고요.
우리말 속에 세상살이의 어려움도 있어 보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