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라플라스의 마녀를 읽고, 스칼렛 요한슨과 최민식이 나왔던 영화 루시가 생각났다. 뤽베송과 스칼렛 요한슨 그리고 최민식 등 감독과 배우 이름만으로도 후덜덜하지만, 솔직히 이름보다는 스토리가 더 강하게 와닿았던 영화였다. 인간의 평균 뇌사용량은 10%다. 그런데 100%를 사용하게 된다면 인간은 어떻게 변할까? 영화 루시는 이렇게 끝이 난다. 뇌를 100%까지 사용하게 되자, 인간의 모습은 사라지고 하나의 거대한 디지털 기기로 변해버렸다.


아마 이렇게 끝이 났던 거 같다. 영화를 보면서 인간의 뇌가 이렇게나 대단한가? 인류문명부터 아니 지구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시공간을 무시하고 볼 수 있으면, 시간을 멈출 수도 있는 그동안 초능력으로만 여겼던 모든 것들을 다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길 수도 있구나 했다. 알파고로 인해 인공지능 로봇인 터미네이터가 영화가 아닌 현실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굳이 인공지능 로봇을 만들 필요가 있을까? 인간의 뇌를 100%까지 사용하게 되면 터미네이터보다 더 월등한 존재가 될 수 있는데 말이다.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라플라스(1749~1827)는 '만일 우주의 모든 원자의 정확한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가 있다면, 뉴턴의 운동 법칙을 이용해 과거와 현재의 모든 현상을 해명하고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다' '어느 순간 모든 물질에 있어서의 역학적인 데이터를 알고 그것을 순식간에 해석할 수 있는 지성이 존재한다면 이 세상에 불확실한 것은 없어져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주로 근대의 물리학 분야에서 미래의 결정성을 논할때에 가상하는 초월적 존재의 개념이라고 한다. 후에 이 존재에게는 '라플라스의 악마'라는 별명이 붙었다. 수학, 물리학, 철학, 문학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 이론이다. 라플라스의 마녀에서는 뉴턴의 운동방정식과 난류와의 연계 선상에서 세계 7대 난제 중 하나라는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도 차용하고 있다. (옮긴이의 말에서)』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30주년 기념작이자 80번째 작품인 라플라스의 마녀는 과학과 미스터리의 만남이다. 위의 글처럼 여러번 읽어야 그나마 아주 살짝 이해가 되는 암튼 난해한 과학을 미스터리 소설에 접목시켰다. 즉, 영화 루시의 스칼렛 요한슨이 라플라스의 마녀에서도 나온다는 것이다. 영화는 약물이 원인, 소설은 뇌수술이 원인.


미스터리 소설답게 초반부를 제외하고는 전부 스포일러이다. 한장씩 한장씩 읽어 나가야만 사건의 내막이, 그들의 존재가 그리고 그날의 진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마도카라는 소녀가 있다. 토네이도의 공격으로 그 자리에서 엄마는 죽고 그녀만 살아 남았다. 그리고 8년 후 마도카의 경호를 맡게 된 다케오는 그녀에게 어떤 신비한 능력이 있음을 짐작하게 된다. 그런데 자살인지, 사고인지, 타살인지 알 수 없는 황화수소 중독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을 밝히려는 경찰, 사건의 진실이 궁금한 지구과학 교수 그리고 마도카의 가출과 그녀가 찾고 있는 한 인물, 그 인물에 대한 엄청난 진실까지... 더이상 밝히면 스포일러가 되므로 여기까지.


마도카의 이야기를 했다가, 지구과학 교수 이야기를 했다가, 마도카가 찾고 있는 의문의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가, 전혀 상관없을 거 같은 새로운 이야기를 했다가 등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온다. 일반적인 미스터리 소설이라면, 밝히려는 자의 시점과 살인자의 시점으로 진행될텐데, 라플라스의 마녀는 좀 다르다. 헷갈릴 정도로 너무나 많은 시점이 나오지만, 시냇물이 강물이 되고 바다가 되듯, 하나의 굵은 시점으로 몰아간다. 점점 사건의 진실에 다가갈수록 뇌수술에 대한 엄청난 비밀도 알 수 있게 된다.


『이윽고 그녀의 발치에서 흰 연기 같은 것이 피어올랐다. 게다가 그 연기는 주위로 퍼지는 게 아니라 아래쪽으로 흘러 내려왔다. 흠칫했다. 그 연기가 무엇인지는 금세 알았다. 드라이아이스에 의한 스모크다. 아마 마도카가 물을 넣은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던져 넣은 모양이었다. (중간생략) 마침내 스모크는 아오에의 발치에 도달했다. 더욱 놀란 것은 그 직후였다. 스모크는 그가 있는 지점을 통과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 고이기 시작했다. 흰 연기가 눈 깜짝할 사이에 아오에의 온몸을 휘감았다. 어떻게 이런 일이 -. (분문중에서)』


영화 루시처럼, 소설 라플라스의 마녀처럼 인간의 능력은 과연 어디까지일까? 정말 뇌를 100%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인공지능 로봇은 필요없겠지. 알파고도 터미네이터도... 히가시노 게이고의 라플라스의 마녀는 미스터리 소설을 넘어선 작품이다. 나에 대해, 우리에 대해, 인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작품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느낌을 들게 만들어 주는 소설이다.



ⓒ다음검색

톰 형님의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인간이 미래를 예측해 범죄가 발생하기 전에 범죄자는 잡는다는 내용의 영화다. 라플라스의 마녀를 읽으면서 가장 생각이 많이 났던 영화다. 그런데 인간이 아니라 기계가 미래를 예측한다면, 알파고가 바둑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게 된다면 이런 일이 일어날 듯 싶다. 


지난 주말부터 정주행을 하고 있는 미드, Person Of Interest. "당신은 감시 당하고 있다. 정부는 은밀한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 기계가 매일 매 시간마다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원래는 테러를 예방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그것은 모든 것을 보게 됐다. 보통 사람들이 관여된 범죄까지도 보게 됐다." 이렇게 시작되는 미드다. 미드인데, 미드같지 않고, 드라마인데, 드라마같지 않다.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인 거 같아, 놀랍고 무섭다.


까칠양파와 네이버 친구하기!!

까칠양파와 페이스북 친구하기!! 

까칠양파와 카카오 스토리 친구하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