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공원
[특별번외편] 3·1절 이야기 - 백범김구, 도산안창호, 도마안중근, 매헌윤봉길, 심산김창숙, 우당이회영!!
2016.02.29까칠양파의 서울나들이는 내가 알고 있는 서울, 몰랐던 서울, 새로운 서울에 대해서 나만의 여행기다. 현재까지 61회를 하면서, 서울나들이의 대표 키워드는 역사다. 5대 궁궐 시리즈가 우리의 자랑스런 역사였다면, 3·1절 시리즈는 우리의 아픈 역사다. 다시한번 잊지 말자는 의미에서, 서대문형무소를 비롯한 독립운동가의 기념관을 여기에 담았다. 백범 김구선생 기념관 "네 소원이 무엇이냐?"하고 하나님이 내게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하는 셋째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하고 대답할 것이다..
3·1절 시리즈 2화 - 효창공원 (까칠양파의 서울 나들이 ep28)
2015.03.023·1절 시리즈에 왠 효창공원? 이런 의문이 드는게 당연하다. 솔직히 나도 몰랐다. 효창공원과 3·1절에 깊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우선 백범 김구 기념관이 효창공원에 있고, 김구 선생 묘소 역시 효창공원에 있다(소니 nex-3n으로 촬영). ■ 효창공원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시립공원. 지리적으로는 효창동 외에도 청파2가동, 마포구 공덕동과 신공덕동까지 영역이 있으며 일반적 공원과는 달리 호국보훈 관련 시설 및 유적지들이 있어 호국적, 역사적인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원래는 조선왕조 22대 임금 정조의 장남 문효세자의 묘가 있는 자리라 하여 '효창원(孝昌園)'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웠다. 그 외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소가 함께 있다. 조선왕조 때까지는 소나무숲이 우거진 곳으로..
3·1절 시리즈 1화 - 백범 김구 기념관 (까칠양파의 서울 나들이 ep27)
2015.02.27오후 6시만 되면 사이렌이 울렸고, 모두 일어서서 오른손을 왼쪽 가슴에 올리고 태극기를 바라봐야 했었다. 바로 국기하강식이다. 1989년 1월에 폐지가 됐는데, 26년이 지난 지금 다시 국기하강식을 한다고 한다. 이유는 애국심을 높이기 위해서란다. 글쎄, 강제적으로 한다고 애국심이 높아질 수 있을까? 만약 그랬다면 '대한 독립 만세'를 불렀던 1919년 3월 1일은 그저 평범한 하루가 됐을거 같다. 애국심은 강제로 억압적으로 한다고 되는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국기를 게양하지 않더라고, 내 나라에 대한 뜨거운 마음만 있다면 그게 바로 진정한 애국심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 애국심이 무엇일까 생각하다가, 삼일절 시리즈를 기획했다. 백범 김구 기념관을 시작으로 이봉창의사, 윤봉길의사 등이 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