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술병같은 두통 코로나19 잔여백신 2차 접종 끝
술병같은 두통 코로나19 잔여백신 2차 접종 끝
2021.08.21코로나19 잔여백신 2차 화이자 접종 1차를 맞고, 21일 후 2차 접종을 완료했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났다. 어디에 보고할만큼 대단한 부작용은 않지만, 그래도 나름 특이했기에 이렇게 남긴다. 1차 때와 동일하게 화이자로 2차 접종을 했다. 코로나19 1차 접종때는 잔여백신이라 연락을 받자마자 바로 방문(병원과 사무실이 같은 건물)을 했기에 준비를 따로 하지 못했다. 1차와 달리 2차는 날짜에 시간까지 미리 알고 있어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었다. 1차와 달리 2차가 더 아프다, 어르신보다는 젊은 세대가 더 힘들다 등등 무슨 말들이 그리 많은지, 아프다고 하니 신경이 쓰이지만, 결론은 무시해도 된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반응은 제각각이니깐. 맞기 전부터 아프다고 생각하면 더 아플 수 있기에, 아프지 않다고..
두통대신 복통 코로나19 잔여백신 1차 접종 성공적
두통대신 복통 코로나19 잔여백신 1차 접종 성공적
2021.07.27코로나19 잔여백신 1차 화이자 접종 전화로 카톡으로 잔여백신을 예약했지만, 높은 접종률에 반포기 상태였다. 카카오톡 지갑으로 오는 예약알림은 광클 아니 광터치를 해야 가능 하기에 역시나 반포기상태였다. 하루종일 카톡 화면을 바라보고 있지 않는 한, 예약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8월 중순부터 사전예약을 한다고 하니, 9월에나 접종을 하겠구나 했다. 그런데 꿈은 이루어진다더니, 드디어 잔여백신을 맞을 수 있는 기회가 왔다. 지난주 금요일 4시쯤 됐을까? 02로 시작하는 번호로 전화가 왔다. 백 아니 만프로 스팸이겠지 하면서 전화를 받았다. 녹음된 음성이 나오면 바로 무시를 해야지 했는데, 스팸이 아니다. 여보세요를 했더니, 상대방도 여보세요를 한다. 그리고 들려오는 반가운 소리. "잔여백신이 있는데,..
컨테이젼(Contagion) | 영화가 아니다 리얼 현실이다
컨테이젼(Contagion) | 영화가 아니다 리얼 현실이다
2020.07.30아쉽게 놓친 영화 넷플릭스로 챙겨보기. 왜 역주행을 했는지 영화를 보면 바로 알게 된다. 영화가 개봉했던 2011년에 봤다면, 감염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사용한 그저그런 재난영화로 치부했을 것이다. 어차피 영화는 영화일뿐 현실이 아니니, 재난영화치고는 잘 만들었네 했을거다. 다음해(2012년) 개봉한 연가시는 극장에서 봤지만, 그때도 별 감흥은 없었다. 그러나 메르스를 겪고난 후 감염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게 됐고, 코로나19가 지배한 2020년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방구석1열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컨테이젼(Contagion)에 대한 소개를 많이 봤다. 작금의 현실과 너무나 똑같아, 영화를 보느내내 소름이 돋았다는 후기도 꽤 많이 봤다. 아무리 그래도 9년 전에 개봉한 영화인데 하면서 솔직히 믿지 않았는데,..
경기 시흥 오이도 함상전망대 바다가 보고 싶어서
경기 시흥 오이도 함상전망대 바다가 보고 싶어서
2020.03.10경기 시흥 오이도 함상전망대 역마살은 아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을 자제하다보니 답답증이 찾아왔다. 이럴때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가면 되는데, 죄다 휴관이다. 시국이 시국인지라 먼 곳으로의 여행은 할 수 없으니, 가까운 곳으로 나들이를 떠났다. 콧구멍에 바람도 쐴 겸 그리 멀지 않은 오이도로 향했다. 서울 강서권에 살고 있기에, 바다를 보고 싶으면 주로 인천이나 강화도에 갔다. 하지만 이번에는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오이도다. 이유는 간단하다. 처음은 아닌데, 간 기억이 나지 않아서다. 마스크는 쓰고, 손 세정제와 카메라는 가방에 넣고 출발했다. 다른 날에 비해 바람이 좀 강하다 싶었는데, 바닷가에 오니 태풍이라도 오는 듯 바람이 어마어마하다. 평상시 같았으면 날을 잘못 잡았구나 할텐데, 이날은 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