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봉평메밀막국수 목동본점
여름이 오니 시원한 음식을 자주 찾게 되는데, 문뜩 묵사발이 먹고 싶어졌다. 고깃집에서 후식으로 쬐금 나오는 묵사발이 아니라, 온전한 한그릇을 만나고 싶어졌다. 폭풍검색을 시작하고 얼마 후, 고깃집이 아닌 제대로 된 식당을 발견했다. 강원도 원조 40년이라는 간판 문구가 맘에 든다. 목동에 있는 봉평메밀막국수다.
이름부터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핀 사진까지 딱 봐도 메밀막국수 전문점이다. 원래 계획은 묵밥(묵사발)인데, 주변 테이블을 보니 죄다 막국수를 먹고 있다. 게다가 봉평산 100% 국산메밀로 막국수를 만든단다. 막국수도 나쁘지 않을 거 같은데 확~ 바꿀까? 주문하기 전 5초동안 왔다갔다 수만번을 반복했다. 이럴때는 혼밥이 싫다. 둘이 왔다면, 고민없이 다 주문했을테니깐.
막국수와 묵사발 사이를 왔다갔다 했는데, 메뉴판을 보니 메밀전에 감자만두, 가자미식혜, 곤드레나물솥밥 등등등 둘이 아니라 여럿이 와야 제대로 먹을 수 있을 듯 싶다. 차라리 메뉴판을 안봤더라면 주문하는데 좀 더 수월했을 거 같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 처음 느낌 그대로 묵사발(9,000원)을 주문했다. 100% 국산 도토리로 만든 묵에서 딱 꽂혔기 때문이다.
테이블에는 겨자와 식초가 있는데, 아무래도 막국수 때문인 듯 싶다. 그 뒤로 보이는 작은 안내문구에서 맘에 드는 구절을 발견했다. 가능하면 가위로 자르기 않는다. 이유는 면이 빨리 삭기 때문이란다. 이유까지는 몰랐는데, 이런 깊은 뜻이 있다니 놀랍다.
밑반찬은 아삭한 열무김치와 새콤한 절인무가 나왔다. 밥은 반공기 정도 따로 나왔는데, 온기가 남아 있기에 뚜껑을 열어놓았다. 묵사발에는 식은밥이 더 어울리니깐.
김가루를 살짝 걷어내니 상추, 오이, 절인무 등 채소가 나왔고, 채소를 걷어내니 빨간맛 잘 익은 배추김치가 나왔다. 그나저나 묵은 아직이다.
육수 아래 숨어 있던 녀석(?)을 위로 올렸다. 젓가락이 아니라 숟가락을 사용해야 할 정도로 묵이 묵직하다. 어떤 도토리묵은 젓가락으로 들면 뚝뚝 끊어지는데, 이건 끊어져서가 아니라 무거워서 젓가락보다는 숟가락을 사용해야 한다. 제대로된 묵사발을 만나니, 막국수에 대한 아쉬움은 이순간 싹 사라졌다.
반으로 자르지 않고 온전한 모양 그대로 숟가락에 올려보려고 했으나, 자꾸만 스르륵 밑으로 떨어진다. 하는 수 없이 반으로 잘랐는데, 어찌나 탄성이 좋은지 쉽지가 않다. 묵사발을 먹는데 가위의 필요성을 느낀 건 처음인 듯 싶다. 묵 특유의 부드러움과 말랑함이 먼저 느껴지다가, 목넘김을 할때쯤 도토리 특유의 쌉쌀함이 훅 치고 들어온다. 그래~ 내가 찻던 그맛이다.
담백하니 슴슴한 육수에 김치와 채소 그리고 구수한 들기름 등 모든 재료를 섞어주니 빨간맛으로 더 맛깔난 비주얼이 됐다. 고기 먹을때 후식으로 먹었던 묵사발과는 차원이 다르다. 고기를 먹고 난 후라 그저 시원과 깔끔한 맛만 났는데, 이번에는 육수부터 채소 그리고 도토리묵까지 재료 하나하나 맛이 다 느껴진다. 후식으로 나올 녀석(?)이 절대 아닌데, 그동안 너무 몰라줬다.
기본찬으로 나온 열무김치와 절인무를 올려서 먹어도 되지만, 묵사발 자체에도 채소가 많아서 굳이 뭘 또 추가할 필요는 없을 거 같다. 어릴때는 콩국수처럼 묵사발을 왜 먹나 했는데, 아무래도 나이를 먹긴 먹었나 보다. 이제는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구수한 토속음식이 더 좋다.
묵밥을 제대로 먹기 위해서 밥은 필수다. 처음부터 밥을 넣어도 되지만, 밥이 뜨거운 상태라 식을때까지 기다렸다. 식은 밥이 확인한 후, 살포시 투하.
역시 음식에는 탄수화물이 들어가야 맛이 산다. 그저 밥이 더해졌을 뿐인데, 뭔가 더 풍성해지고 꽉 찬 느낌이다. 참, 도토리묵을 숟가락으로 한입 크기로 자르는데 생각보다 꽤 힘들었다는 건 안비밀이다.
묵사발을 쉽고 간단한 음식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묵사발 한그릇을 만들기 위해, 오랜 시간 불 앞에서 묵이 눌러붙지 않도록 끊임없이 저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정성을 알기에 남김없이 다 먹어야 한다. 양이 부족하다 싶으면 1차는 묵사발, 2차는 막국수였는데, 위대하지 못해서 1차에서 끝냈다. 그러므로 막국수 먹으러 다시 갈테닷.
'폼나게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오면 생각나는 부침개 도화동 히말라야어죽 (28) | 2020.07.01 |
---|---|
시원 고소 독특한 중국냉면 목동 락희안 (17) | 2020.06.29 |
갑오징어구이가 생각날때 황학동 옥경이네건생선 (26) | 2020.06.26 |
경춘선숲길 옆 라라브레드 공릉점 (24) | 2020.06.23 |
맵거나 느끼하거나 맵느맵느 도화동 스쿨푸드 (32) | 2020.06.19 |
시원 쌉쌀한 도토리 묵사발 목동 봉평메밀막국수 (21) | 2020.06.17 |
수라상이 일절 부럽지 않은 집밥 도화동 히말라야어죽 (18) | 2020.06.15 |
대전에 가면 성심당은 무조건 무조건이야 (39) | 2020.06.12 |
콩나물밥에 육회를 넣어 쓱쓱 비벼 대전 왕관식당 (40) | 2020.06.10 |
여름이다 콩국수 먹자 도화동 선미옥 (56) | 2020.06.05 |
광화문 요기분식 여름에는 팥빙수 말고 냉열무국수 (34) | 2020.06.03 |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와 진짜 묵사발 제대로네요!!
가면 진짜 고민되는 메뉴들이겠어요
묵사발은 식은밥이 어울린다는 문구에 적극공감합니다. ㅋㅋ 잘보고가요 ~^^
묵사발이 벌써 침 넘어가네요
여름엔 시원한 막국수 생각에 .... 점심 먹으러 가야겠어요
목동에 이런 맛집이 숨어있었네요. 정말 시원해 보입니다.
날씨가 더운날 제격인 포스팅이네요 ㅎㅎ
잘보고 잘먹구 갑니다 ㅋ
맛있는 여름음식~~~
오늘도 맛난거 많이 드세용~~
크~~ 묵사발
요즘같은 계절에 딱!
너무 훌륭한 메뉴 선정이십니다
더운날씨에 꼭먹어야하는 묵사발이에요
먹고싶어지는데요 ㅎㅎ
점심을먹었는데 배에서소리가나고
침샘은 폭발하내요
우와 가격대가 조금 있어서 우와.. 얼마나 잘나오려나? 생각했었는데 역시 돈값 하네용 ㅎㅎ
저희 동네는 묵사발이 7500원대라 딱 그정도 값한다 생각했었거든욥
이 계절에 딱 어울리는 음식을 드셨네요
저도 다행히 동네에 막국수는 잘하는 집이 하나 있어서
여름에 단골됩니다.ㅎㅎ 곱배기도 가격이 같아서 완전 애정하거든요.ㅎㅎ
묵 만드는데 들어가는 정성이 대단하지요.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지요.
역시 드실 줄 아는 분이십니다. ㅎ
묵이 탱탱하니 잘 만들었네요.
여름 시원하니 좋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겨울 뜨끈하게 먹는
묵밥을 좋아 한다지요 .. ㅋ
캬아~~~ 바라만 보고있어도 군침이
요즘 여름철 딱인 음식이군요!!!
굿♡
시원한 묵사발은 저도 좋아하지만,
저희 어머니께서 엄청 좋아하시는 음식입니다. ㅎㅎ
여름엔 살얼음 동동 띄운 묵사발~
겨울엔 따스한 묵사발도 나름 괜찮더라구요.
밥과 묵사발의 콜라보는 정말 군침나게 만드는
비주얼이네요~!! ^^
정말 맛있죠
저도 막국수집 종종갑니다
저는 오늘 막국수 먹을까 비빔국수 먹을까 고민하다
비빔국수를 먹었거든요
묵사발은 밑반찬으로 나온것만 먹어보았기에
그닥 맛있다는 느낌을 받은적이 없는데
쫄깃한 묵이라니 밑반찬으로 나오는 묵사발과는
차원이 다른 것 같네요..^^
이야 요즘 같은 날씨에 시원한 묵사발 한그릇
먹으면 정말 시원하겠네요!!
살얼음이 동동 띄어져 있어서 보기만해도 시원해지네요
아주아주 시원했을 듯 합니다.
조만간에 어머니와 함께 묵사발 먹으러 동네를 돌아다녀야겠어요
(의정부 시내는 아직.....)
묵사발 여름에 시원하게 먹는것, 넘 좋아요🤤
묵은 예전에 시골 어머님이 잘 만들어서 시장에 팔던 시절이 있었어요.
그 만드는 과정을 지켜봐서 얼마나 많은 정성이 들어 가는지 알지요.
맛난 요리 한 그릇을 깔끔히 해결하셨습니다.